[긴급]2020년 RFID 음식물류폐기물 종량제사업 임차용역(장기계속사업)

❍ 과업의 범위
- 음식물류 폐기물 RFID기반 개별계량장비 설치(현장조사, 교육 및 홍보, 설치동의서 징구 등 발주자와 합의한 세부사항)
- 한국환경공단 RFID기반 음식물쓰레기 관리시스템 및 연계시스템(CDMA 혹은 WCDMA방식, 무선방식, 3G방식 등) 통신방식 구축으로 수수료(무게단위)가 산정되도록 현장설치
- 배출원 인식을 위한 RFID 선불카드 배포
- 거점별 예비수거용기 개별 잠금장치 설치
- 설치완료 후 신속하고 효율적인 유지보수 및 하자보수 방안(전용 민원안내 전화가동 등) 제시
- 개별장비에 대한 원격 모니터링 및 관리
- 배출총량, 수수료, 감량통계, 지역별 발생량, 단지별 발생량 등 정보 제공
- 장비사용에 대한 주민 홍보방안 및 교육자료 제출
- 임대기간 종료 후 기기 완전철거 및 현장정리

중부 RFID 설비 등 유지보수 용역

사업내용 및 범위

구분
수행역무
비고
RFID 설비
○ 설비별 예비품 확보 및 장애 부품교체를 포함한 수리 및 복구
○ 성능변경에 필요한 인력 및 기술지원
○ 설비 정기점검 및 자료 백업, 보관 등
○ 운영체제 및 S/W 버전 업그레이드
○ 설비현황관리 및 유지관리
○ 유지보수실적분석 및 자료제출
155대
단순공사
○ 설비이전, 행사 등에 따른 정보통신기기 이설 및 신․증설
- 스위치, 서버, PC, 프린터, 전화기 등 정보통신설비 및 케이블 일체
실적정산
소모품
○ 정보통신 관련 소모성 부품 및 발주자 요청 자재 등

안동대학교 도서관 RFID 구축 사업 태깅 용역

사업목적
가. 미래지향적 U-Library 구현을 위한 RFID기반 스마트 학술정보시스템 구축
나. 학술정보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RFID시스템 구축
다. 도서관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통한 서비스 환경 개선
라. 도서관 이용환경 효율성 극대화하고 통계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향상

2020년 RFID 항만출입관리시스템 확대구축

추진배경

가. 국가보안시설인 항만에 출입하는 인원, 차량 등에 대한 보안 강화

○「국가항만보안계획」에 따른 첨단IT 기반의 항만출입통제시스템 구축

○ 광양항 시범사업을 통해 RFID 출입증 발급·관리, 출입인증 및 통합 DB 시스템 등 표준화 방안 개발(‘09년)

○ 전국항만에 RFID 기반의 항만출입증을 단계적 확산 방침 결정(‘10년)

나. RFID 항만출입관리시스템 구축 경과

○ 제1차~4차 RFID기반의 항만출입체계 개선사업 추진(’11∼‘14)
- 포항, 동해ㆍ묵호항 등 11개항 42개 초소 구축

○ 2016년 RFID 항만출입관리시스템 확대구축
- 제주항 11부두, 동해ㆍ묵호항 3초소

○ 2016~2017년 평택ㆍ당진항 RFID 항만출입관리시스템 구축
- 동부두, 서부두, 고대부두 및 관리부두 등 18개소

○ 2018년 RFID 항만출입관리시스템 확대구축
- 속초항 신부두, 제주항ㆍ서귀포항 크루즈부두,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 2019년 지능형 CCTV 기반 차량번호인식 항만출입관리시스템 시범구축

전자태그(RFID) 기반 물품관리시스템 장비 구매 및 설치

1. 목 적
본 과업지시서는 교육부에서 추진하는 “전자태그(RFID)기반 물품관리 시행 계획”과 관련 전자태그 물품관리 활성화 추진을 위해 필요한 전자태그 장비의 구매 및 설치에 있어 대전광역시교육청(이하“수요자”)이 계약자인 납품업체(이하“계약상대자”)에게 요구하는 H/W의 설치, 기술지원등 제반사항을 명시하여 보다 효율적인 물품관리 업무지원 및 원활한 시스템 운영을 추진함을 목적으로 한다.